본문 바로가기
시사이슈

트럼프의 AI 정책 'Stargate(스타게이트)와 일론 머스크, 샘 알트먼의 충돌

by 공유. 2025. 1. 23.

트럼프 대통령의 야심찬 AI 정책, 'Stargate(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실리콘밸리 거물들 사이에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와 샘 알트만이 공개적으로 충돌한 것이 그것인데, 이는 미국의 AI 기술 패권을 둘러싼 복잡한 이해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할 것입니다.

 

📍 목차

트럼프 대통령의 AI 투자 발표
일론 머스크의 이의 제기
OpenAI CEO 샘 알트만의 대응
배경: 머스크와 알트만의 오랜 갈등
영향과 전망
맺음말

 

트럼프 AI정책 썸네일

 

트럼프 대통령의 AI 투자 발표


2025년 1월 21일,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Stargate(스타게이트)'라는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OpenAI, Oracle, SoftBank가 참여하는 5,000억 달러 규모의 민간 투자 계획

- 초기에 1,000억 달러를 즉시 투자하고 4년에 걸쳐 총 5,000억 달러까지 확대 예정

- 텍사스를 시작으로 미국 전역에 AI 데이터 센터 건설 계획

- 약 10만 개의 일자리 창출 예상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역사상 가장 큰 AI 인프라 프로젝트"라고 칭하며 미국의 AI 경쟁력 강화를 강조했습니다. OpenAI의 CEO 샘 알트만, Oracle의 공동 창업자 래리 엘리슨, SoftBank의 CEO 마사요시 손이 백악관에서 열린 발표회에 참석해 지지를 표명했습니다.

Stargate (스타게이트): 우주 여행을 위한 가상의 장치 또는 SF 작품 제목
OpenAI (오픈에이아이): 인공지능 연구 기업
Oracle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회사
SoftBank (소프트뱅크): 일본의 대형 통신 및 투자 기업

 

 

일론 머스크의 이의 제기


그러나 트럼프의 측근이자 정부 효율화 자문위원회(DOGE) 의장인 일론 머스크는 이 발표 직후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X에서 이 계획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 "그들은 실제로 그 돈을 가지고 있지 않다"

- "SoftBank는 100억 달러도 안 되는 자금을 확보했다. 이는 신뢰할 만한 정보다"

머스크의 이러한 발언은 트럼프 행정부 내부의 의견 불일치를 드러내는 이례적인 사례로 주목받았습니다. 특히 머스크가 트럼프의 선거 자금으로 2억 7천만 달러를 기부하고 정부 효율화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충격적이었습니다.

 

OpenAI CEO 샘 알트만의 대응


이에 OpenAI의 CEO 샘 알트만이 머스크의 주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반박했습니다.

 


- "당신이 틀렸다는 것을 당신도 잘 알 것이다"

- 머스크를 텍사스 건설 현장에 초대하며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직접 확인하도록 제안하겠다.

- "이는 국가에 이롭다. 당신의 회사에 최적화된 것이 아닐 수는 있지만, 새로운 역할에서는 미국을 우선시하기를 바란다"

알트만의 대응은 머스크와의 오랜 갈등의 연장선으로 보입니다. 두 사람은 OpenAI의 공동 창립자였으나, 머스크는 2018년 퇴사한 이후 OpenAI의 영리 기업 전환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해왔습니다.

 

배경: 머스크와 알트만의 오랜 갈등


이번 사건의 배경에는 AI 기술 패권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AI를 국가 안보 전략의 핵심으로 삼고 있습니다. 'Stargate' 프로젝트는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미국 내 AI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려는 시도입니다.

한편 머스크는 자신의 AI 기업 xAI를 통해 OpenAI와 경쟁 관계에 있습니다. 그는 OpenAI가 Microsoft와 긴밀히 협력하며 불공정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머스크의 'Stargate' 프로젝트 비판은 개인적인 이해관계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사태는 머스크와 알트만 사이의 오랜 갈등, 그 연장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두 사람은 OpenAI의 공동 창립자였으나, 머스크는 2018년 퇴사

- 머스크는 OpenAI가 비영리 연구소에서 영리 기업으로 전환한 것에 대해 비판적

- 2024년 머스크는 OpenAI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 2025년 2월 초 연방법원 심리 예정

 

영향과 전망


이번 사태는 미국의 AI 정책과 기술 산업에 여러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 트럼프 행정부의 AI 정책에 대한 신뢰도 하락 가능성

- 민간 기업들의 대규모 AI 투자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 제기

- 머스크의 xAI와 OpenAI 간의 경쟁 심화 예상

- AI 기술 발전과 규제 사이의 균형에 대한 논의 활성화

xAI (엑스에이아이):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인공지능 기업

 

맺음말


향후 'Stargate' 프로젝트의 실제 진행 상황과 자금 조달 과정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이며, 미국의 AI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의 관계 변화, 그리고 실리콘밸리 기업들과 정부 간의 협력 방식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AI 기술의 발전이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를 넘어 정치, 경제, 국가 안보 등 다양한 측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AI 기술 발전 방향과 그 영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스타링크(Starlink)' 제대로 알기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스타링크(Starlink)' 제대로 알기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SpaceX), 저궤도 위성군 기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에 대해 알아봅니다. 출범한다는 뉴스를 들은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지구촌 곳곳을 커버하고 있

gongyu.tistory.com

중국 AI 딥시크(DeepSeek), "사이버 공격으로 신규 등록 중단"

 

중국 AI 딥시크(DeepSeek), "사이버 공격으로 신규 등록 중단"

미국 AI 시장을 달군 중국 AI 기업 딥시크(DeepSeek)가 디도스(DDoS)로 추정되는 사이버 공격을 당했다는 소식입니다. 2025년 1월 27일 딥시크는 대규모 악의적 사이버 공격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신규

gongyu.tistory.com

딥시크(DeepSeek)와 주요 플랫폼 비교 | OpenAI O1, Google AI Gemini, Microsoft Azure AI

 

딥시크(DeepSeek)와 주요 플랫폼 비교 | OpenAI O1, Google AI Gemini, Microsoft Azure AI

2023년에 설립된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AI 기술 분야에서 빠르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딥시크 세 번째 편으로 주요 AI 플랫폼인 OpenAI O1, Google AI Gemini, Microsoft Azure AI와 딥

plusai.tistory.com

딥시크(DeepSeek) 모델 종류와 성능 특징 | V3 R1 R1-Distill

 

딥시크(DeepSeek) 모델 종류와 성능 특징 | V3 R1 R1-Distill

2023년에 설립된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AI 기술 분야에서 빠르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딥시크의 모델 종류와 성능 특징 알아봅니다. 딥시크-V3, R1, R1-Distill 시리즈가 각각 어떻게 다

plusai.tistory.com

트럼프의 無慈悲 이민정책: CBP One 앱 중단! 망명 이민 난민 차단! 불법 이민자 추방!

 

트럼프의 無慈悲 이민정책: CBP One 앱 중단! 망명 이민 난민 차단! 불법 이민자 추방!

취임 즉시 200개의 행정명령, 각서에 서명했다고 전해지는 트럼프. 그 가운데엔 무자비한 이민정책도 있습니다. 국경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불법 이민자들을 추방하고, 망명 이민 난민의 입국을

bogoc.tistory.com

'바이든의 편지' 미국 대통령 간에 전해지는 아름다운 전통

 

'바이든의 편지' 미국 대통령 간에 전해지는 아름다운 전통

취임 전날 트럼프가 발견한 한 통의 편지, 바로 '바이든의 편지'입니다.이는 퇴임하는 대통령이 후임 대통령에게 전하는 메시지로 미국 대통령들 사이에 전해지는 아름다운 전통입니다. 언제부

bogoc.tistory.com

트럼프, 불법 이민자 추방 시작됐나? | 국경비상사태 이민정책 행정명령

 

트럼프, 불법 이민자 추방 시작됐나? | 국경비상사태 이민정책 행정명령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매우 강경한 이민 정책을 행정명령으로 발표하고 시행에 옮기기 시작했습니다. 그 핵심에 있는 것이 남부 국경 비상사태 선포 및 통제, 그리고 불법 이민자 추방입니

bogoc.tistory.com

삼성의 차기 XR 헤드셋(HMD), 코드명 '프로젝트 무한(Project-Infinite)

 

삼성의 차기 XR 헤드셋(HMD), 코드명 '프로젝트 무한(Project Infinite)'

삼성의 차기 XR 헤드셋(HMD), 코드명 '프로젝트 무한(Project Infinite)'이 기술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AR, XR, XR 시대에 이 혁신적인 기기에 대해 알려진 자료를 토대로 주요 특징과 가능을 살펴보고

gongyu.tistory.com

앤트로픽, 생성형 AI 챗봇 클로드 3(claude 3) 경량버전 '하이쿠' 출시

 

앤트로픽, 생성형 AI 챗봇 클로드 3(claude 3) 경량버전 '하이쿠' 출시

3월 13일 앤트로픽이 생성형 AI 챗봇 클로드 3(claude 3) 경량버전 '하이쿠' 출시했다는 소식입니다. 이는 3월 4일 클로드 3이 출시된 지 열흘도 되지 않아 연다라 출시한 것인데, 당초 앤트로픽은 클

gongyu.tistory.com

미드저니 저작권 침해소송과 생성 AI의 저작권 문제

 

미드저니 저작권 침해소송과 생성AI의 저작권 문제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미드저니’와 관련된 저작권 소송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미드저니는 1만 6000명이 넘는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학습했다고 하는데, 여기에는 파블로 피카소, 앤디 워홀, 뱅

gongyu.tistory.com

오픈AI의 챗GPT, 폐쇄적 AI와 개방형 AI동맹의 대립

 

오픈AI의 챗GPT, 폐쇄적 AI와 개방형 AI동맹의 대립

2023년 12월 5일,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와 IBM의 주도로 개방형 AI 모델을 추진하는 AI 동맹이 출범했습니다. 이는 오픈 AI의 챗GPT 등 폐쇄적 AI 정책에 대항하는 AI동맹의 결성이었습니다. 글로벌

gongyu.tistory.com

엣지 AI와 온디바이스 AI | 뜻 차이점 장단점

 

엣지 AI와 온디바이스 AI | 뜻 차이점 장단점

클라우드에 의존하지 않는 AI 개념으로 엣지 AI와 온디바이스 AI가 있습니다. 둘은 비슷한 개념이면서도 실제 적용에 있어 차이가 있습니다. 엣지 AI와 온디바이스 AI의 뜻과 차이점, 장단점 알아

dimalife.tistory.com

챗 지피티(Chat GPT) 무료 유료 요금제와 모델별 특징 비교

 

챗 지피티(Chat GPT) 무료 유료 요금제와 모델별 특징 비교

지난번 '[초보자를 위한] 챗 지피티(chatGPT)가 대체 뭐지?' 글에서 살펴보았듯 챗 지피티(Chat GPT)의 진화과정은 다채롭습니다. 이번엔 그 후속 편으로 챗GPT의 모델별 특징과 무료 및 유료 요금제에

dimalife.tistory.com

챗 지피티(Chat GPT), 미드저니, 스테이블디퓨전, 데비안아트, 깃허브 코파일럿... 생성 AI 줄줄이 저작권 소송

 

챗 지피티(Chat GPT), 미드저니, 스테이블디퓨전, 데비안아트, 깃허브 코파일럿... 생성AI 줄줄이 저

챗GPT가 저작권 침해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뉴욕타임즈와 왕좌의 게임을 쓴 조지 마틴, 존 그리샴 등 베스트셀러 작가들이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자신들의 작품을 무단으로 사용해 저작권을 침해

dimalife.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