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 로고에 이름도 특이한 덕덕고(DuckDuckGo).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미국의 소프트웨어 기업입니다. 검색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 검색 엔진을 운영하고 있는데, 최근 AI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덕어시스트, 덕AI를 출시했다고 합니다. 어떤 기업인지 알아봅니다.


덕덕고(DuckDuckGo)
덕덕고는 '사용자를 추적하지 않는 검색엔진'이라는 표어를 내세우며 구글 등 주요 검색 엔진과 차별화된 프라이버시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프라이버시에 민감한 사용자들 사이에서 대안적 검색 엔진으로 사랑받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AI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도 출시해 검색 시장에서 독특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회사 역사와 설립 배경
덕덕고는 2008년 2월 29일 가브리엘 웨인버그(Gabriel Weinberg)에 의해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밸리포지에서 설립되었습니다. 웨인버그는 이전에 'Names Database'라는, 현재는 중단된 소셜 네트워크를 운영한 경험이 있는 기업가였습니다. 회사의 이름은 어린이 게임인 '덕, 덕, 구스(duck, duck, goose)'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2008년 설립 이후 2011년 10월까지 웨인버그는 자비로 회사를 운영하다가, 이후 유니온 스퀘어 벤처스(Union Square Ventures)와 몇몇 엔젤 투자자들의 투자를 받습니다. 유니온 스퀘어의 파트너 브래드 번햄(Brad Burnham)은 '우리는 검색에서 경쟁의 기반을 바꾸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럴 때가 되었다고 확신하게 되어 덕덕고에 투자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덕덕고는 펜실베이니아주 파올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약 2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비공개 기업입니다. 2010년부터 덕덕고는 프라이버시를 주요 차별화 요소로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핵심 철학과 프라이버시 중심 접근법
덕덕고의 핵심 철학은 단순합니다. '사용자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 회사는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개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검색 엔진은 해당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고수합니다.
전 세계 검색의 약 85%를 차지하는 구글과 같은 주류 검색 엔진과 달리, 덕덕고는 사용자의 검색어를 추적하거나 저장하지 않는다는 확고한 약속을 통해 차별화됩니다. 이 약속은 '사용자를 추적하지 않는 것이 우리의 개인 정보 보호 정책입니다'라는 명확한 슬로건으로 표현됩니다.
덕덕고는 다음과 같은 프라이버시 보호 메커니즘을 활용합니다.
- 사용자 프로필을 생성하지 않음
- HTTPS 암호화를 통한 데이터 보호
- 검색 유출 방지(사용자가 선택한 검색어가 방문한 사이트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
- 구글, 페이스북과 같은 회사의 제3자 추적기 차단
이러한 접근 방식 덕분에 덕덕고는 익명의 브라우징 기능으로 유명한 Tor(The Onion Router)의 기본 검색 엔진이 되었습니다.
제품 및 서비스
덕덕고의 주력 제품은 동명의 검색 엔진이지만,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검색 엔진
덕덕고 검색 엔진은 Perl, JavaScript, Python으로 작성되었으며 nginx, FreeBSD, Linux에서 운영됩니다. 이 검색 엔진은 다양한 검색 API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어 TechCrunch에서는 이 서비스를 '하이브리드' 검색 엔진으로 특징지었습니다.
덕덕고는 구글과 같은 고급 검색 구문을 제공하며, 사칙연산 등의 수식과 단위를 계산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느낌표(!)를 사용한 '!Bang' 기능을 통해 다른 사이트 내에서 직접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브라우저 및 확장 프로그램
덕덕고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더 강력한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하는 자체 브라우저와 웹 확장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제3자 추적기를 차단하고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을 보호합니다.
덕어시스트(DuckAssist)
2023년 3월에 출시된 덕어시스트는 앤트로픽 및 오픈AI의 기술로 구동되는 AI 요약 서비스입니다. 위키피디아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과 같은 출처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요약해 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검색 결과 위에 특별한 패널로 표시되며, 정보가 검색된 문서에 대한 링크와 함께 답변을 제공합니다.
덕AI(Duck.ai)
2025년 3월 7일 공식 출시된 덕AI(Duck.ai)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중시하는 덕덕고의 철학을 AI 분야로 확장한 서비스입니다. 덕AI는 여러 대형 언어 모델에 익명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AI 챗봇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않으면서도 강력한 AI 기능을 제공합니다.
비즈니스 모델 및 수익 구조
덕덕고는 프라이버시 중심 접근법에도 불구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고 있습니다.
1. 광고 수익
덕덕고는 주로 Yahoo-Bing 검색 얼라이언스 네트워크의 광고를 제공하여 수익을 얻습니다. 이 광고들은 사용자 프로필이 아닌 검색 쿼리의 키워드와 용어를 기반으로 합니다.
2. 구독 수익
2024년 4월부터 덕덕고는 Privacy Pro 접근을 위해 지불되는 구독료로도 수익을 얻고 있습니다.
3. 기부
덕덕고는 프라이버시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선 단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이러한 목적으로 미화 100만 달러를 기부했으며, 지난 10년 동안 총 365만 달러를 기부했습니다.
시장 위치와 도전과제
미국 검색 시장에서 덕덕고는 약 2.5%의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2023년 기준). 최근 정보에 따르면 덕덕고는 매일 약 1억 건의 검색을 처리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덕덕고는 구글과 같은 대형 검색 엔진과의 경쟁에서 여러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2023년 9월, 가브리엘 웨인버그 CEO가 미국의 '구글 반독점 소송'에서 법무부 측 증인으로 출석하여 구글의 독점 계약이 검색 시장에서의 경쟁을 어렵게 만든다고 증언한 바 있습니다.
웨인버그 CEO는 '우리의 검색 엔진을 기본으로 설정하기 위해 기업들과 협상을 시도했지만, 구글이 해당 기업들과 맺은 계약 때문에 계속 거절당했다'면서, '3년 동안의 시도 끝에 결국 계약 때문에 이 시도가 무의미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구글과 달리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기 때문에 맞춤형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맺음말
이상 덕덕고(DuckDuckGo)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덕덕고가 출시한 덕어시스트, 덕AI 서비스에 대해서도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덕덕고는 확실히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디지털 시대에, 사용자가 개인 정보를 포기하지 않고도 웹을 검색할 수 있는 대안을 제공하는 독특한 검색엔진입니다. 주류 검색 엔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현재의 웹 생태계에서 덕덕고가 얼마나 영역을 넓혀나갈지 주목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퍼플렉시티(Perplexity)의 '코멧(Comet)' AI 기반 웹 브라우저
퍼플렉시티(Perplexity)의 '코멧(Comet)' AI 기반 웹 브라우저
퍼플렉시티(Perplexity)가 코멧(Comet)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웹브라우저를 출시한다고 한다. 코멧은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브라우저로, 현재 사전 등록 진행 중이다. 코멧이 무엇인
dimalife.tistory.com
구글(Google) 스프레드시트, 파일 첨부하는 법
구글(Google) 스프레드시트, 파일 첨부하는 법
구글(Google) 스프레드시트는 엑셀처럼, 복잡하게 얽혀있는 여러 사안들을 정리하기에 좋은 툴입니다. 더구나 구글 드라이브라는 클라우드에 저장되어 어디서든 열람과 수정이 가능해 좋습니다.
dimalife.tistory.com
덕덕고(DuckDuckGo) 덕어시스트 덕AI :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검색엔진 & AI
덕덕고(DuckDuckGo) 덕어시스트 덕AI :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검색엔진 & AI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는 덕덕고(DuckDuckGo), 개인정보 보호에 중점을 둔 대안적 검색 엔진으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이제 덕덕고는 검색을 넘어 AI 영역
dimalife.tistory.com
퍼플렉시티(Perplexity) 고성능 AI 모델 '소나'(Sonar)
퍼플렉시티(Perplexity) 고성능 AI 모델 '소나'(Sonar)
최근 퍼플렉시티가 자체 개발한 AI 모델 '소나'(Sonar)의 새로운 버전을 출시했다는 소식입니다. 소나(Sonar)는 메타의 Llama(라마) 3.3 70B를 기반으로 개발된 고성능 AI 모델로, 텍스트 기반 작업에서
gongyu.tistory.com
구글의 이미지 생성 AI 위스크(Whisk) 사용법
구글의 이미지 생성 AI 위스크(Whisk) 사용법
구글의 이미지 생성 AI 도구 위스크(Whisk)가 우리나라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동안 미국에서만 가능했던 위스크가 2025년 2월 12일 한국을 포함한 100여 개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
gongyu.tistory.com
퍼플렉시티(Perplexity) 프로, "딥시크(DeepSeek)를 품다"
퍼플렉시티(Perplexity) 프로, "딥시크(DeepSeek)를 품다"
검색할 것이 있어 퍼플펙시티(Perplexity)에 접속했다. 그런데, 뜨아! 질문 창 하단에 '딥시크 R1을 시도해 보세요'라는 문구가 뜨는 게 아닌가? 이거 뭐지? 딥시크(DeepSeek)? 딥시크가 퍼플에 들어왔어
gongyu.tistory.com
딥시크(DeepSeek) 모델 종류와 성능 특징 | V3 R1 R1-Distill
딥시크(DeepSeek) 모델 종류와 성능 특징 | V3 R1 R1-Distill
2023년에 설립된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AI 기술 분야에서 빠르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딥시크의 모델 종류와 성능 특징 알아봅니다. 딥시크-V3, R1, R1-Distill 시리즈가 각각 어떻게 다
plusai.tistory.com
삼성의 차기 XR 헤드셋(HMD), 코드명 '프로젝트 무한(Project-Infinite)
삼성의 차기 XR 헤드셋(HMD), 코드명 '프로젝트 무한(Project Infinite)'
삼성의 차기 XR 헤드셋(HMD), 코드명 '프로젝트 무한(Project Infinite)'이 기술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AR, XR, XR 시대에 이 혁신적인 기기에 대해 알려진 자료를 토대로 주요 특징과 가능을 살펴보고
gongyu.tistory.com
두 개의 딥 리서치(Deep Research): 퍼플렉시티(Perplexity)와 오픈AI(OpenAI)
두 개의 딥 리서치(Deep Research): 퍼플렉시티(Perplexity)와 오픈AI(OpenAI)
최근 AI 기반 리서치 도구 시장에서 퍼플렉시티(Perplexity)와 오픈AI(OpenAI)가 각각 '딥 리서치(Deep Research)' 기능을 출시하여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두 플랫폼의 딥 리서치가 각각 어떻게
dimalife.tistory.com
뤼튼, 챗지피티(ChatGPT) 플러스, 퍼플렉시티 프로 | 특장점 적합직업군(사용자) 비교
뤼튼, 챗지피티(ChatGPT) 플러스, 퍼플렉시티 프로 | 특장점 적합직업군(사용자) 비교
막상 생성 AI 유료버전을 사용하려고 하면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망설여집니다. 하여 본 글에서는 뤼튼(Wrtn)과 챗지피티 플러스(ChatGPT Plus), 퍼플렉시티 프로(Perplexity Pro)의 특장점을 비교하고
dimalife.tistory.com
AI영상의 선두주자, 구글 비오 2(Veo2)와 오픈AI 소라(Sora)의 기술 대결
AI영상의 선두주자, 구글 비오 2(Veo2)와 오픈AI 소라(Sora)의 기술 대결
텍스트만으로 고품질 영상을 만들어내는 AI영상 기술의 선두에 구글 비오 2(Veo2)와 오픈 AI의 소라(Sora)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모델의 특징과 성능, 장단점을 비교해 보고자 합니다. ✅ 목
dimalife.tistory.com
챗 지피티(Chat GPT) 무료 유료 요금제와 모델별 특징 비교
챗 지피티(Chat GPT) 무료 유료 요금제와 모델별 특징 비교
지난번 '[초보자를 위한] 챗 지피티(chatGPT)가 대체 뭐지?' 글에서 살펴보았듯 챗 지피티(Chat GPT)의 진화과정은 다채롭습니다. 이번엔 그 후속 편으로 챗GPT의 모델별 특징과 무료 및 유료 요금제에
dimalife.tistory.com
'로봇·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 지브리 스타일 프로필 사진(지브리 프사) 열풍 (2) | 2025.04.07 |
---|---|
서울 로봇 인공지능 과학관(RAIM) | 예약 주차 및 상세 이용방법 (2) | 2025.03.18 |
퍼플렉시티(Perplexity) 고성능 AI 모델 '소나'(Sonar) (0) | 2025.02.25 |
오리진 우콩(Wukong) vs 구글 윌로우(Willow): 양자컴퓨터 패권 경쟁 (0) | 2025.02.21 |
중국 오리진 우콩(Wukong): 양자컴퓨터의 새 지평을 열다 (0) | 2025.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