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서울RAIM)은 로봇·인공지능 전문 과학관입니다. 어떤 로봇들이 전시되는지, 어떤 프로그램이 운영되는지, 이용방법은 어떠한지 자세하게 알아봅니다. 상설 전시 내용과 함께 반드시 예약을 해야만 볼 수 있는 기획전시, 전시연계 프로그램 등이 있어 탐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서울RAIM은(Seoul Robot & AI Museum) 로봇과 인공지능을 직접 즐기고 배울 수 있는 공간입니다. 또한 서울RAIM은 로봇·인공지능과 인문학적 사고 그리고 다양한 예술과 창작활동이 결합된 공간이기도 합니다.
로봇, 인공지능, 인간의 관계를 함께 고민하고 질문하는 공간, 서울 RAIM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은 2021년 5월 첫 삽을 뜬 이래 약 2년 10개월의 공사 기간을 거쳐 2024년 8월에 정식 개관했습니다. 건물은 건축면적 143,129㎡, 연면적 7,308㎡,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로 아름다운 돔 형태로 조성되었으며, 서울시 도봉구 마들로 13길 56(창동)에 위치합니다. 각 층별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B1~B2F: 기계/전기실, 주차장, 수장고
- 1F: 로비, 카페, 기업전시, 뮤지엄샵
- 2F: 운영사무실, 세미나실, 다목적실, 교육공간
- 3F: 상설전시실 1~2, VR 체험관
- 4F: 기획전시실
서울RAIM의 주요 전시 및 체험 개요
서울RAIM의 전시에는 상설전시, 기획전시, 전시연계 프로그램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현재 또는 4월 중 진행되는 전시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중 일부 상설전시 체험형 콘텐츠는 비예약으로도 가능하지만, 기획전시, 전시연계 프로그램, 그리고 대다수 로봇 관련 상설 전시는 해설사 동반한 사전예약으로만 관람이 가능합니다.

사전예약은 서울특별시 공공서비스예약을 통해 진행되며, 전달 10일 10시에 다음 달 예약을 오픈합니다. 경쟁이 상당히 치열해 여럿이 함께 나들이하고자 한다면 작전을 좀 짜는 게 필요합니다. (1인 5매까지 가능) 예약에 관한 안내는 글 말미에 홈페이지 주소와 함께 다시 언급하겠습니다. 전시예약은 매월 10일 오전 10시에 익월 예약이 진행되는데, 경쟁이 상당히 치열합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시관람 및 전시연계는 사전예약으로만 이용 가능합니다.
상설 전시
상설 전시는 '생각하는 로봇, 질문하는 인간'이라는 주제로 층별로 다양한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각 층별 주제를 살펴보겠습니다.
📍 1층 상설 전시
1층 상설 전시는 '로봇·인공지능과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서울RAIM이 환영하며 첫인사를 하는 공간입니다.

아이볼
아이볼(AI-Ball)은 과학관 입구에서 관람객을 맞이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천장에 매달린 로봇이 관람객을 인지하고 환영하는 오리엔테이션(OT) 공간입니다.
전자 정원
전자정원은 KIST에서 개발한 로봇꽃으로 손동작에 반응해 피고 지는 원리입니다. 손을 펴고 쥐어 꽃을 피고 지게 하는 체험을 통해 로봇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로봇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AI와 모빌리티
인공지능 관점에서 자율주행 2.5단계 기술이 적용된 차량의 관련 기술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자율주행 3단계
3단계 자율주행차 시뮬레이터 탑승 체험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트롤리 딜레마
자율주행 시 여러 상황에서 자신의 선택을 통해 인공지능 윤리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2층 상설 전시
2층 상설 전시는 '로봇·인공지능을 알아가다'의 주제로, 로봇·인공지능의 주요 기술을 소개하고 체험하는 공간입니다.
자율주행으로 가는 길
로봇‧AI 기술이 적용된 미래도시와 퓨처 모빌리티를 보며, SW 교육을 통해 나만의 자율주행 자동차를 만들어볼 수 있습니다
로봇과 코딩
KT에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코딩 프로그램 KT AI codiny(코디니)를 통해 로봇 코딩을 체험해 볼 수 있습니다. AI 코디니 블록코딩으로 로봇 팔을 프로그래밍하여 분리수거, 컵 받침 제작, 인형 뽑기의 미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수술 로봇

인튜이티브서지컬코리아에서 제공하는 수술 로봇, 다빈치 수술 로봇을 통해 실제 수술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수술로봇에 적용된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시뮬레이터와 수술로봇을 직접 조작하여 의료분야의 로봇기술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 3층 상설전시
3층 상설 전시는 '생각하는 기계 질문하는 인간'이라는 주제로 로봇, 인공지능, 인간과의 관계를 사유하고 질문하는 공간입니다.
메타 휴머노이드 마스크봇
메타 휴머노이드 마스크봇은 생성형 AI가 탑재된 로봇으로 관람객과 실시간 대화가 가능합니다. 인공지능을 형체로 보여주어 인공지능을 실감할 수 있고 대화를 하면서 인공지능이 친구가 될 수 있을지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인간과 로봇의 경계
전시를 관람하고 난 후 나의 생각의 변화를 반영해 로봇‧인공지능과 함께하는 미래에 대한 투표에 참여해 보실 수 있습니다.
로봇·인공지능 포럼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로봇‧인공지능과 관련된 전문가들의 다양한 견해를 들어볼 수 있습니다.
로봇 해부학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인체를 탐구했던 다빈치처럼, 로봇을 이해하기 위해 로봇의 구조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인간을 닮은 로봇

인간을 닮은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은 관람객들과 축구를 즐길 수 있는 로봇으로, 인간을 닮은 로봇 앨리스가 축구하는 것을 보면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필요성과 인간과의 관계 맺음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읽을 수 있는 도시
내가 눈으로 보는 세상과 로봇이 센서로 보는 세상을 비교해 보고 센서로 움직임을 인식해 만든 미디어아트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얼굴 없는 초상화
인간이 얼굴이라고 인식하는데 인공지능이 하지 못하는 것을 체험하면서 인간 고유의 영역이 있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디지털 종의 출현

4족 보행 로봇(스팟)은 강아지처럼 생긴 로봇으로 인사도 하고 장애물을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4족보행로봇의 다양한 움직임을 체험하고, 작동원리를 이해하며, 우리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할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인공지능 윤리의 결정
로봇‧인공지능과 공존할 때의 윤리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 어떤 윤리 의식을 가져야 할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AI 페르소나
AI 캐리커처 로봇은 인공지능으로 표정을 인식하여 캐리커처를 그리는 로봇팔입니다. 인공지능이 사람 얼굴을 인식해서 로봇이 그려주는 체험을 통해 로봇의 그림을 예술이라고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로봇 싱잉볼
로봇이 싱잉볼을 연주해 주는 것을 들으면서 로봇,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미래투표
전시를 관람하고 난 후 나의 생각의 변화를 반영해 로봇‧인공지능과 함께하는 미래에 대한 투표에 참여해 보실 수 있습니다.
푸드엔젤
사람-로봇 상호작용을 고려해 설계된 노숙자 음식배달 로봇 푸드엔젤은 공학자로서 기술을 개발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하게 해 줍니다.
기획 전시
[기획전시 1] '온 앤 오프 : 일하는 로봇, 그리고 사람'

현재 열리고 있는 기획전시는 5월 31일까지 열리는 '온 앤 오프-일하는 로봇, 그리고 사람'이라는 주제의 전시입니다. 이 전시는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개관 특별전으로 기획된 전시입니다.
특별전 <온 앤 오프 : 일하는 로봇, 그리고 사람>의 의미는 '온 앤 오프'는 로봇‧인공지능이 작동하기 위해서 ‘전기적 ON/OFF가 필요’하다는 의미와 로봇‧인공지능이 작동(on)하면 ‘사람의 일자리 및 역할은 오프(off)’된다는 중의적 의미를 포괄한다고 합니다.
이 전시에서는 “로봇이 우리가 해왔던 많은 일을 대신할 때, 사람은 무엇을 해야 할까요?”라는 질문을 던지며, 우리의 일상 속에서 활용되고 있거나 또 가까운 미래에 활용될 로봇‧인공지능 기술들을 소개합니다.

[기획전시 2] 개관기념 미디어파사드 특별전「Future Together」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획전시 두 번째 전시는 미디어파사드 특별전「Future Together」입니다. 이는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서울RAIM)에서 개관 기념 특별전으로 로봇‧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이라는 주제 아래 기술과 예술이 하나로 융합된 미디어파사드입니다.
- 일시 : 2024. 08. 30.(금) ~ 2025. 3. 29.(토)
- 장소 :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건물 외벽
- 상영 일정 : 매주 수~토. (1회차) 19:00, (2회차) 19:30, (3회차) 20:00, (4회차) 20:30. 1일 4회 운영하며, 회차별 상영시간은 약 20분, 대기시간은 약 10분입니다.
상설전시해설 + 전시연계 프로그램
상설 전시 해설(20분)과 전시연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기획으로 이 역시 사전예약이 필요합니다. 주요 상설 전시 로봇의 경우 해설사 동반하지 않으면 입장이 되지 않기 때문에, 사전에 예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현재 고시된 4월 전시연계 프로그램 항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트 참조)

로봇의 구조: 생물의 관절
[2회차 10:30]
로봇의 형태와 구조, 구동장치에 대해 배우고, 로봇 관절의 진화와 생물 모방 이유를 탐구합니다. 집게로봇팔 만들기와 4족 보행 로봇 관람을 통해 로봇의 관절 구조를 깊이 있게 이해합니다.
AI, 그리고 ARTBOT
[4회차 11:30]
인간과 인공지능의 사고를 비교하고 얼굴인식기술을 학습하며, 코딩스티커로 로봇의 얼굴을 창작합니다. 과학관 전시물에서
ARTBOT을 얼굴인식기술로 인식하고, 거대 로봇 프레임에 자신의 ARTBOT을 전시하는 특별한 경험을 쌓습니다.
HELP! ROBOT!!
[6회차 13:30]
참여자는 결함이 있는 로봇을 수리하고 특정 환경에서 효율적인 이동 수단을 탐구하며 직접 체험합니다. 이후 4족보행 로봇을 조종해 보며 목적에 맞는 로봇의 움직임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AI 비트메이커
[7회차 14:30]
참여자는 인공지능이 창작한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생성형 AI의 원리를 이해하며 직접 음악을 만들고 DJ 기계를 통해 창작 체험을 진행합니다. 또한, 인공지능 예술의 가치와 저작권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만든 음악은 과학관에 전시됩니다.
머신 러닝 팀배틀
[9회차 15:30] [11회차 16:30]
참여자는 머신 러닝 기술을 이해하고 실습하며, '데이터'의 중요성을 학습합니다. 개, 고양이, 사람을 구분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설계하고 훈련하며 머신 러닝의 작동 원리를 직접 체험합니다.
운영 시간 및 관람 정보
운영 시간
- 화~일요일: 09:30~17:30
- 휴관일: 매주 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익일 휴관), 1월 1일, 설날·추석 당일
관람료
- 어린이(0~13세), 청소년(중·고등학생), 65세 이상: 무료
- 성인(20~64세) 개인: 3층 상설전시 2,000원, 4층 기획전시 무료
- 성인(20~64세) 단체(20인 이상): 3층 상설전시 1,000원, 4층 기획전시 무료
관람료 면제(무료) 대상
- 6세 이하 및 65세 이상인 자
- 장애인 및 동행 보호자 1명
- 국가유공자 및 그 유족과 가족
- 다둥이 행복카드 소지자와 가족
- 그 밖에 서울특별시명예시민증 소지자, 병역명문가증 소지자 등
방문 및 예약 안내
예약 및 관람 TIP
- 일부 오픈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프로그램이 예약제로 운영됩니다. 상설 전시 로봇의 경우도 사전예약으로 해설사 동반해야 입장이 가능하니, 이 점 주의하세요.
- 예약은 서울공공서비스 예약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매월 10일 오전 10시에 익월 예약이 시작됩니다. 예약 경쟁이 치열하므로 미리 계획을 세워 예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서울공공서비스 예약에서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또는 'RAIM'을 검색한 후 예약해도 됩니다. 사전예약은 관람일 전날까지 가능하며, 당일은 예약 불가합니다.
- 예약한 전시해설 프로그램 사이 시간에 자유관람시설을 이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교통 안내
- 지하철: 1호선/4호선 창동역 1번 출구에서 도보 5분
- 버스: 창동농협물류센터역, 마을버스(노원 15, 도봉 08, 도봉 09), 지선버스(1119)
- 주차: 주차장 이용이 불가합니다. 전시관 측에서는 대중교통이용을 권장하며, 차량이용자의 경우 인근 공영주차장을 이용하세요.
문의 정보
- 과학관 대표 전화: 02-920-4300/4301/4320
- 단체 예약 문의: 02-920-4315
이상 서울RAIM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은 로봇과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를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으로 AI와 로봇공학이 퀀텀점프를 보이는 이 시점, 큰 매력으로 관람자를 유혹합니다. 사전 정보를 잘 알고 가시고 또 사전예약도 놓치지 마시고, 먼 걸음 알찬 관람하고 오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다빈치 수술 로봇 & 우리나라 로봇 수술 현황
다빈치 수술 로봇 & 우리나라 로봇 수술 현황
오늘날 의료현장에서 로봇을 이용한 수술이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다빈치 수술 로봇입니다. 본 글에서는 다빈치 로봇 수술 시스템과 그 외 국산 수술 로봇의 현황을
gongyu.tistory.com
휴머노이드(Humanoid) 로봇, 어디까지 알고 있니?
휴머노이드(Humanoid) 로봇, 어디까지 알고 있니?
인간의 모습을 한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은 더 이상 공상과학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닙니다. 어느덧 우리 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정의부터 역사, 핵심 기술,
gongyu.tistory.com
휴머노이드 로봇과 일반 산업용 로봇, 뜻 특징 차이점 & 로봇산업 현황
휴머노이드 로봇과 일반 산업용 로봇, 뜻 특징 차이점 & 로봇산업 현황
AI가 발전하면서 로봇 산업에도 가속도가 붙는 듯합니다. 하여 로봇 산업에 대해 개괄해 보려 합니다. 먼저 휴머노이드 로봇과 일반 산업용 로봇은 어떻게 다를까요? 그 뜻과 역할, 특징, 활용사
gongyu.tistory.com
125cm 감성 로봇 '마인드봇(Mindbot)' | 휴머노이드
125cm 감성 로봇 '마인드봇(Mindbot)' | 휴머노이드
휴머노이드 감성로봇을 아나요? 단순한 기계가 아닌, 인간의 감정을 이해하고 인간과 대화할 수 있는 로봇! 휴머노이드 감성로봇, 마인드봇(Mindbot)을 소개합니다. 교육, 돌봄, 가사 등 다양한 분
gongyu.tistory.com
블랙팬서(Black Panther) 2.0, 4족 로봇개 '100미터를 10초 이내에' | 중국의 로봇 혁명
블랙팬서(Black Panther) 2.0, 4족 로봇개 '100미터를 10초 이내에' | 중국의 로봇 혁명
2025년 1월, 중국에서 개발한 '블랙팬서(Black Panther) 2.0'이라는 이름의 4족 로봇 개가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이 로봇은 100미터 달리기를 10초 이내에 주파하는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인간 육상
gongyu.tistory.com
중국 로봇청소기 기업 로보락과 중국 데이터보안법, '개인정보 공유 논란' 심층 분석
중국 로봇청소기 기업 로보락과 중국 데이터보안법, '개인정보 공유 논란' 심층 분석
중국 로봇청소기 기업 '로보락(Roborock)'의 개인정보 공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논란 상황과 배경, 쟁점이 되고 있는 로보락의 개인정보 처리방침 및 중국의 데이터보안법, 그리고 그에 대한 대
gongyu.tistory.com
한양대학교 VR 이명 치료기 '티디 스퀘어(TD Square)' | CES 2025 최고혁신상
한양대학교 VR 이명 치료기 '티디 스퀘어(TD Square)' | CES 2025 최고혁신상
CES 2025 디지털 헬스 부문에서 최고혁신상을 받은 한양대학교의 티디 스퀘어(TD Squar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혁신적인 디지털 치료기기는 이명 환자들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티디 스퀘어
mid-life.tistory.com
CES 2025 혁신상 의료용 로봇과 솔루션 11, 'AI와 첨단기술로 무장하다'
CES 2025 혁신상 의료용 로봇과 솔루션 11, 'AI와 첨단기술로 무장하다'
CES 2025에 대해 연속 기획으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ES 2025에 출품된 다양한 의료용 로봇과 솔루션 중 혁신상 이상을 받은 제품들 중에서 주목할만한 것들로 모아봅니다. 한국 기업
dimalife.tistory.com
'ITAI공유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리 로고 덕덕고(DuckDuckGo), 검색어 수집 NO! 개인정보 중시하는 검색 엔진 (1) | 2025.03.09 |
---|---|
퍼플렉시티(Perplexity) 고성능 AI 모델 '소나'(Sonar) (0) | 2025.02.25 |
오리진 우콩(Wukong) vs 구글 윌로우(Willow): 양자컴퓨터 패권 경쟁 (0) | 2025.02.21 |
중국 오리진 우콩(Wukong): 양자컴퓨터의 새 지평을 열다 (0) | 2025.02.19 |
삼성 갤럭시 S25 배송대란 개통지연 원인과 현황 (1) | 2025.02.17 |
댓글